◆최근 국내 홍역 환자 18명 중 베트남 방문력 환자 13명
◆면역체계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 유행국가 방문 자제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고,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 18명 중 13명이 베트남 방문력이 있음을 고려하여 베트남 등 해외 방문을 계획중인 경우 백신 접종 등 주의를 당부하였다.
국내 홍역 환자는 2024년 총 49명, 2025. 3. 6일 기준 총 16명이 발생하였으며,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하여 감염된 사례이다. 특히 2024년 12월 2명과 금년 3월까지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은 베트남을 다녀왔다.
참고로 서태평양지역의 홍역 환자는 2024년 기준 11,062명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로는 필리핀이 4,00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말레이시아(3,753명), 베트남(2,105명), 중국(1,026명) 순이다.
베트남이 공식 홍역 환자 보고수가 가장 많은 국가가 아님에도 베트남 방문이력을 가진 홍역 환자가 국내에서 최근 지속 신고되는 이유는 베트남이 국내 여행자들의 선호 국가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 등 홍역 유행국가 방문 또는 여행을 계획중인 경우 반드시 홍역 백신 접종력을 확인하고, 접종력 확인이 어려운 경우 백신 접종후에 방문할 것이 권고된다.
홍역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감염 시 발열·발진·구강 내 회백색 반점(Koplik’s spot) 등이 나타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붙임1 참고). 하지만, 백신접종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만큼, 생후 12~15개월 및 4~6세 총 2회에 걸쳐 반드시 홍역 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특히 면역체계가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에 감염되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감염에 유의하기 위해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방문이 불가피하다면(생후 6개월이상 12개월 미만) 반드시 출국전에 홍역 가속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시사상조신문(http://www.sisasangjo.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결혼·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와 회복 '웰니스관광'…치유관광산업 육성법 내년 시행 (2) | 2025.03.24 |
---|---|
거창군, 자연 속 힐링 명소 탄생 '거창산림레포츠파크' 개장 (0) | 2025.03.19 |
울산관광 통합 예약 서비스 ‘울산여행 만들기’ 운영 (0) | 2025.03.14 |
수원시, '3월 수원행 여행가는 달' 캠페인 진행 (0) | 2025.03.12 |
서초구양성평등활동센터, ‘결혼과 출산’ 구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5) | 2025.03.11 |